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생각과 철학을 가지고 있다. 특히 장애를 가진 당사자로서 장애를 갖지 않은 비장애인들의 장애인에 관한 생각을 들을 때면 때로는 시각장애를 가지고 있는 당사자로서 그들이 가진 생각에 동의할 수 없고, 불쾌감마저 들 때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시각장애인이 눈이 보이는 사람과 함께 한 집에서 생활한다고 가정해 보자. 눈이 보이는 사람은 시각장애인과 함께 살기 전 시각장애인에 대해 들어본 적도 없고, 도움을 준적도 없는 사람이라면 시각장애인을 시각장애인으로 대하지 않고 눈이 보이는 사람과 동일하게 생각하고 대하게 될 것이다. 물론 사회적 편견이 있을 수도 있겠으나 예를 드는 이 상황에서는 그 부분은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어떤 날 눈이 보이는 친구와 눈이 보이지 않는 친구가 삼겹살을 사다가 고기를 구워먹을 때 눈이 보이는 친구가 눈이 안 보이는 친구에게 자신이 알아서 고기를 구어 먹으라고 했다면 시각장애를 갖고 있는 당사자로서는 많이 당황할 것이다. 비시각장애인의 생각은 다른 친구와 마찬가지로 동등하게 고기를 구워 먹으라고 했는데 무순 잘못이 있느냐고 반문 할 수 있을 것이다.
시각장애를 갖고 사회 속에서 다른 여러 사람들과 같이 산다는 것은 때로는 그들의 의견을 존중해 주고 같이 협력해야 할 때가 많다. 하지만 시각의 장애로 인해 그들의 요구와 그들의 생각과 같이 발맞추어 나갈 수 없을 때 그 속에서 겪는 장애인들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위에서 예를 든 것이 조금은 억지스러운 일일 수도 있겠지만, 시각장애인 혼자서 고기를 구워먹을 수 없는 것, 시각장애인 혼자서 책을 읽을 수 없는 것, 쇼핑을 할 수 없는 것, 음식을 만들지 못하는 것, 옷을 자신의 취향에 맞게 입지 못하는 것 등은 일상생활에서 겪는 아주 작은 부분이지만 이 모든 것들이 다른 여러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는 공간에서는 장애인 당사자에게는 치욕적인 일이 될 수 있으며 같이 사는 다른 사람들에게는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물론 장애인과 살면서 그 정도 배려는 못 받고 못 도와주겠느냐고 물어볼 수도 있겠지만 도움을 요청하는 당사자나 도움을 주어야 하는 사람이 가족이 아닌 경우는 서로 불편하게 느낄 수 있는 부분이다.
나는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보화 보조기기 보급 사업을 통해 많은 제품을 구입할 수 있었다. 처음으로 구입하게 된 것은 무지 점자 정보 단말기(한소네 I), 컴퓨터 화면을 읽어주는 화면 낭독 프로그램(Sense Reader), 언제 어디서나 책을 읽을 수 있는 DF-R을 2003년부터 기회가 되는대로 구입할 수 있었다. 한소네를 구입한 뒤 학교에서 수업을 들으면서 다른 일반 학생들의 도움 없이 강의 노트를 적을 수 있었고, 교수님이 학생들에게 준 과제를 화면 낭독 프로그램(Sense Reader)을 사용하여 다른 학생 도움 없이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아 Report를 제출 할 수 있었다.
2004년에는 여러 시각장애인들과 함께 정보검색대회에 참여하여 정보검색대회 시각부분 2등, 삼성 Anycom 패스트벌에서 정보검색대회 부분 1등을 하기도 하였다. 이 모든 학습 활동 및 생활은 다행이도 장애인들을 위해 개발 된 특수 기기(Hard Ware)와 소퓨트웨어(Soft Ware)가 이미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아주 가끔씩은 이 모든 보조공학 기기와 소프트웨어들을 사용하면서 비장애인들에게 "너는 왜 컴퓨터만 하니?", "너는 어떻게 하여 그런 기기를 갖고 있니?", "왜 정부는 너에게 그런 혜택을 주니?", "우리들은 장애인들에 비해 불평등한 사회에서 살고 있는 것 같다. 장애로 고생스러운지는 알겠지만 노력하지 않고 무조건 얻기만 하고, 보상심리만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우리는 세금도 내고 국방의 의무도 다하는데 장애인들은 이런 의무를 하지 않고 받고만 있잖니? 네 생각은 어떠니?" 등의 질문을 받곤 한다. 난 이 질문들에 자신있게 대답할 준비는 되어있지 않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장애인들에게 이런 보조공학 기기들의 도움이 없다면 장애인의 생활은 누군가에 도움 속에 거기 의존되어 단순한 일상생활에서도 자율적으로 적응이 잘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나 역시 컴퓨터가 없으면 대학에 들어가 공부를 잘 마칠 수 없었고, 지금 유학을 올 수도 없었을 것이다. 한소네(무지점자정보단말기)가 없었다면 나의 주소록, 일정 관리, 메모, 계산기 등은 내 사전에는 없었고 다 머리로만 했어야할 것이다. 다음으로, DFR 독서기가 없었다면 교통수단을 이용하면서 버리는 시간동안 멍청하게 다른 사람들의 하는 소리만 듣고 나의 독서를 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번 년도에 구입하게 된 DFR은 강의 녹음과 독서를 위한 목적으로 구입하게 되었다. 미국에서 사회복지를 공부하게 되면서 다량의 도서와 가끔씩 이해하지 못하는 영어를 위해 녹음기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다행이도 금년도 정보화 보조기기 사업을 실시하는 것에 신청하여 구입할 수 있었다. DFR의 우수한 녹음기능을 통해 강의 내용을 빼놓지 않고 이해할 수 있었고, DFR에 탑재 된 영어 음성 엔진(English Voice Engine)을 통해 영어권 책도 독서할 수 있었다.
또 Music Play 기능을 통해 이미 녹음 된 음성 파일과 녹음도서(Audio Book)를 손쉽게 이용 할 수 있어 하루 종일 낭비하는 시간 없이 모든 시간을 내 공부와 삶에 연계할 수 있었다. 또 자주 읽어 기억해야하는 일은 책갈피 기능을 통해 그 부분을 기억 할 수 있고, 일정관리(Scheduler)를 통해 해야 할 일까지 정해진 시간에 할 수 있으니 개인비서를 둔 느낌이다.
최근 들어서 여러 디지털기기(Digital Player)들이 늘어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휴대용 기기들을 들고 다니면서 이동 중에도 이용하고 악세사리(accessory)화 하고 있다. 이 중 이동전화는 이런 기기들 중 빠질 수 없는 개인필수품이 되었는데 장애인 당사자로서 장애인들을 돕는 보조공학 기술이 일반 사람들이 사용하는 일반 기기들에게도 널리 사용되어져 일반인들은 장애인들을 이해하는 폭이 넓어지고, 장애인들은 일반인들과 같은 대열에서 나란히 걸어갈 수 있는 기회로의 장이 되어지길 희망한다.
그러므로 나와 다르다고 배척하는 사회가 아닌 장애인들과 함께 숨 쉬고 장애인들과 함께 걸으며 동일선상에서 더불어 살아가는 행복한 사회 그 중간에 우리나라 보조공학 기술이 있기를 희망한다.
Posted by 넓은바다
,

우리에게 희망을 선물 한 박두성


많은 훌륭한 사람들은 자신만의 꿈을 가지고 실천해왔다. 우리나라를 일제 하에서 구하려고 노력하신 안중근 의사 또한 그만의 꿈과 희망이 있었다. 미국에 유명한 흙인 인권 운동가로 많이 알려진 Martin Luther King Jr도"I have a dream"이라는 유명한 연설로 자신의 꿈을 소개하기도 했다. 필자의 경우 박두성 선생님의 일대기는 이번 독서를 통해 처음 접한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맹학교를 졸업한 시각장애인이라면 누구나 점자기념일에 학교에서 다양한 행사를 통해 점자의 유래 및 창안자에 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필자의 경우도 비슷해서 행사때마다 들었던 이야기지만 이번 독후감 공지를 보고 박두성 선생님이 누군지 자세히 알고 싶어 다시 책을 잡게 되었다.

박두성 선생님은 정말 훌륭한 분이셨다. 본인이 직접 만나 이야기 한 적도 손으로 만저본것도 아니지만 "박두성 전기"에서 묘사하고 있는 박두성 선생님은 우리나라에서 맹 교육을 처음 시작한 사람 같이 묘사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무순 일을 하던지 첫 단추가 잘 끼어저야하는 데 일제 시절 맹 교육의 단추는 잘 끼어진 것으로 생각 된다. 그분의 헌신적인 노력이 없었더라면지금 한국 사회의 시각장애인들은 문자 없이 생활하는 문맹자가 될 수도 있을 일이다. 혹자는 말할 것이다. "박두성 선생님 말고 다른 사람이 점자를 창안하고 보급할 수도 있을 일이라고..." 중요한것은 그렇게 아니한 생각보다는 시각장애인을 사랑하는 마음과 헌신적인 활동은 그 무었과도 바꿀 수 없는 가치이기 때문에 그런 가설 조차 용납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박두성 선생님은 꿈을 가진 사람이었다. 이 책에서는 박두성 선생님의 기독교적 신앙심을 많이 보여주고 잇다. 박두성 선생님이 문제에 봉착할 때마다 성경을 통해 얻은 지혜는 사회적으로 시각장애인에 대한 평견이 팽배한 사회속에서도 시각장애인을 올바로 보고 가르치는 초석이 되었다. 성서의 요한복음 9장에 나온 시각장애인 이야기를 보면서 모든 시각장애인의 교육의 평등과 삶의 평등을 깨닫고, 실천하시면서도 모든 시각장애인들이 사회에서 다른 비시각장애인들과 함께 살기를 바라신 마음이 비록 성경에서 나왔을지라도 암흙속에 있던 시각장애인들을 사회쏙으로 나오게 하는 중요한 키가 되었다. 많은 제자들을 통해 결국 시각장애인들의 사회화가 현실에서 이루어지고 지금은 비로 많은 수가 아니지만 교수, 목사, 교사, 안마사, 피아노 조율사, 등 여러 각 분야에서 시각장애인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일하고 잇는 것이다. 이 모든 활동에서 점자를 읽고 활용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은 사회화에 있어서도 큰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박두성 선생님이 돌아가시기 전 시각장애인들이 많은 분야에서 활동하지 못하였지만 지금 이렇게 활동 하게 된 것을 박두성 선생님이 보신다면 정말 기뻐하실 것이다.

박두선 선생님은 등대였다. 책 내용 중 시각장애인들을 자주 불러 잔치를 하고, 시각장애인들에게 전기 간행물을 보급하고, 어느 시각장애인이든지 자신이 거하는 집에 와서 자신과 대화할 수 잇는 문을 활짝 여신 것을 볼 수 있다. 통상적인 의미의 등대는 "밤중의 연안 뱃길을 안전하게 안내하는 표지가 되도록 해안에 세우고 등불을 켜 놓은 탑 모양의 건물"과 "나아가야 할 길을 밝혀 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의 뜻을 가지고 잇다. 시각장애인이라는 힘없고 목표 없는 작은 배가 바람과 파도가 치는 바다위에서 길을 잃고 해매일 때 박두성 선생님은 하나의 등대가 되어 점자라는 항로와 교육이라는 빛으로 시각장애인들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셨다.

결론적으로 "박두성 전기"가 나에게 준 선물은 "남에게 본이 되는 훌륭한 삶과 미래의 확실한 꿈을 갖고 남을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라는 교훈을 주었고 대학에서 특수교육과 사회복지를 전공 하여 사회복지로 유학을 와 미래에 대한 갈등 속에서 해매고 잇는 나에게 큰 희망을 주고 비전을 준 책이 되었다. 미록 나도 연약한 시각장애인이지만 나보다 더 어려운 시각장애인을 도울 수 잇고 그들과 함께 생활 할 수 잇따면 박두성 선생님만큼은 아니라도 시각장애인개에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osted by 넓은바다
,

이번주에는 13일의 금요일이 끼여있던 한주였다. 지난주에 이야기한 것 처럼 매주 한권씩 책을 읽으려고 노력하는데 역시 이번 주 역시 다행이도 한 권을 읽을수 있었다.
그리고 이번주에 들으면서 한국에서 불어온 "루저녀"의 발언으로 인터넷이 많이 시끄러웠다.

이번주는 공지영씨의 "도가니"라는 소설을 읽게 되었다.
잠시 인터넷 상에 소개 되는 글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다.



Daum책 - 도가니

도가니

저자
공지영
출판사
창비

작가 공지영, 거짓과 폭력에 맞서다거짓과 폭력의 도가니 속에서 피어난 용기와 희망!우리 문단의 대표적인 작가 공지영의 소설『도가니』. 현실의 부조리를 파헤치는 통찰력, 불합리와 모순에 맞서는 정직성, 동시대 사람들과 호흡하는 감수성으로 많은 사랑을 받아온 작가 공지영이 2년 만에 펴낸 장편소설이다. 광주의 한 장애인학교에서 있었던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선과 악, 진실과 거짓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흥미진진하게 다루고 있다. 아내의 주선으로 남쪽 도시 무진에 있는 청각장애인학교 자애학원의 기간제교사 자리를 얻어 내려가게 된 강인호. 한 청각장애아가 기차에 치여죽은 사고가 나도 그것을 쉬쉬하는 교장과 교사들, 무진경찰서 형사 사이에서 그는 이상함을 느낀다. 그리고 부임 첫날 우연히 듣게 된 여자화장실의 비명소리로 점차 거대한 폭력의 실체를 알아가게 된다. 장애아들에 대한 구타와 성폭행이 빈번하게 벌어지는 학교. 강인호는 대학 선배이자 무진인권운동센터 간사인 서유진, 최요한 목사, 피해 학생의 어머니 등과 함께 사건의 실체를 파헤치고 세상에 알리려 한다. 하지만 자애학원과 결탁한 교육청, 시청, 경찰서, 교회 등 무진의 기득권세력들은 사건을 무마하기 위해 비열한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는데…. ☞ 작품 조금 더 살펴보기!이 소설은 2008년 11월 26일부터 2009년 5월 7일까지 Daum에서 연재한 원고를 다듬은 것이다. 2005년 TV 시사고발 프로그램을 통해 알려진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작가가 현장을 취재하고 자료를 수집한 뒤 집필하였다. 약자의 편에 서서 거짓과 맞서 싸우는 보통 사람들의 분투기가 펼쳐진다. 끔찍한 폭력과 성폭행 장면이 소설 곳곳에 생생하게 묘사되어 있다.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악의 본질, 거짓을 눈감아주는 우리들의 무의식, 잘산다는 것의 진정한 의미를 묻는다.





2003년 대전 맹학교를 졸업하고 대구대 특수교육과에 처음 들어갔을 때 우리과 남학생들은 장애 인권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할 시간이 있었다.
언제나 싸우는것과 언성을 높이는것을 잘 못하고 싫어했던 나에게는 장애인권 이야기를 할 때 빠지지 않는 운동권 이야기가 불편한 대화 주제였다.
그런 이유 때문에 장애인권 하면 바로 장애 인권 운동 이라는 공식이 성립되고 이후 시각장애인이지만 집회 현장에는 잘 안가게 되었다.

어느 날 저녁 특수교육과 모든 학생들이 모여서 행사를 하던 중 천안에 애바다 학교의 비리 및 성 폭력 실태에 대한 비디오를 볼 수 있었다.
당시 내용이 아마 도가니에 나온 학교의 비리와 비슷한거 같았다. 다만 이 소설에서는 물질적 비리는 많이 포함되어있지 않지만 그 비디오에서는 재정적인 비리도 많이 포함되어있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난 정말 마음이 많이 아펐다. 물론 소설속에서 이야기 하고 잇는 교회의 비도덕성, 인맥사회의 폐단, 보수로 불리우는 집단 사회의 비변화성 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많겠지만 난 이 소설 속 화자 즉 작가가 보이고 잇는 장애인에 관한 시각에 대해 말하고 싶다.
작가는 글을 쓰기 전 청각장애인에 대해 많은 정보를 읽고 공부한것 같았다. 사회적으로 가지고 잇는 편견중 하나는 "청각장애인이기 때문에 지능이 낮다.", "거짓말을 잘한다.",나 "자신만의 세계에 빠저서 산다." 등의 사고가 많이 팽배해 있지만 작가의 독특한 표현 기법으로 작품 속에서 언급하고, 그 잘못 된 편견을 올바르게 지적하는것 같았다.
특수교육학적으로 모든 감각 장애(시각,청각) 및 지체부자유자 등은 이론적으로는 지능장애를 갖지 않는다. 감각 장애 및 신체 장애는 자신이 경험하지 못하는 감각이나 혹은 이동할 수 없는 것 때문에 경험 부족 내지는 욕구 불만이 생길 수 잇으나 사회가 장애인을 바라보는 시선의 변화에 따라 이런 현상이 줄어든다.
다시 말해 장애인을 더 장애인 답게 만드는 것은 사회 구성원들의 장애인을 바라보는 시각 때문이기도 하다. 이 소설에서 여러번 언급되는 대사 중 하나는 "귀머거리는 듣지도 못하고 수치심도 느끼지 못합니다."등의 말은 장애인을 한 사람의 인격으로 바라보는것이 아니라 자신이 보호해야하고 자신보다 못한 사람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지금과 같은 사회를 만드는 주된 원인이기도 하다.
이런 측면에서 여성 청각장애인들의 성문제를 소설의 소재로 책택한 공지영 작가에게도 감사의 말을 표한다. 왜냐면 사회적으로 약자인 장애인들이 여러 문화 활동에 소외되고 잇는것이 현실이다.
또 여러 장애분야는 전통적으로도 문학 내에서 동정의 대상 내지는 사회에서 쓸머 없는 사람으로 묘사되되기 때문이다. 소설을 쓰면서 장애 여성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한것으로 보여진다. 다시 말하지만 지금 사회가 장애인을 바라보는 시각을 너무 잘 그려저서 참으로 고맙다.
그리고 그 부조리를 보고 침묵하는 사람들에게도 자기 나름대로의 이유를 들어 부조리를 이야기 하지 않고 덥는 모습 또한 문제가 잇다고 지적하는 모습은 작가의 또다른 내면이라고 보여진다.

늘 장애인권, 노동인권, 조소득층의 인권 등을 위해 이 시간에도 노력하시는 여러분들께 감사 드린다.
또 우리나라를 위해 봉사하시는 여러 지도자들에게도 남을 배려하는 마음으로, 자기 가정을 이끌어가는 마음으로, 또 작은 희망에도 행복을 느끼는 국민들을 위해 봉사하기를 고대해본다.

Posted by 넓은바다
,